이전에만 하더라도 관심있는 아파트의 시세나 공시지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직접 발품을 팔아 인근에 위치한 구청이나 부동산을 직접 방문하면서 찾아다녀야 하였지만 지금은 공개오픈이 되면서 인터넷으로 알아볼수가 있답니다.

 

목차

     

    일반적으로 부동산을 팔거나 살때에 정상적인 매매가를 신고해야 하지만 세금(취득세, 양도소득세, 증여세등.)을 절세하려 하거나 가격을 뻥튀기 하거나 매매가가 일반 시세에 비해서 턱없이 낮거나 높을떄가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해서 국토교통부에서 감정원 자료를 통해여 부동산 공시지가와 실거래가를 반영하고 있답니다. 

     

    1. 부동산 공시지가란.?

    전국에서의 거래되는 토지의 합리적인 정보 체계를 세우기 위하여 부동산 가격의 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산정되며 건축물을 제외하고 순수한 토지의 가격을 말한답니다.  이같이 표준공시가가 중요한 이유는 이러 한금액을 기반으로 부동산의 개별적인 가치를 매기기 때문으로 그 기준점은 토지의 면적이라고 할수가 있답니다.

     

     

     

    2. 아파트 시세 기준시가

    매년마다 거래량에 따라서 공시지가가 달라지게 되며 동일한 아파트의 경우라도 층수나 동에 따라서 약간씩 차이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사를 가야할 동이나 호수등을 직접 알아봐야 한답니다.  또한, 기준시가의 경우에는 토지와 지어진 건물의 가격을 합한것으로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시세에 비하여 기준시가의 경우에는 60~80% 정도라고 합니다. 

     

    3.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지금은 공정한 아파트 거래를 위해서 국토교통부 공식홈페이지를 통해서 매년마다 조금씩 달라지는 실거래가, 공시지가를 확인해 볼수가 있답니다. 아래와같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공식홈을 선택합니다.

     

     

    4. 아파트 실거래가조회

    우리가 주거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주택으로 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등이 있으며 아파트 실거래가를 살펴보고자 한다면 메뉴에서 '아파트' 를 선택합니다.

     

     

    ■ 현재 기준년도(2020년)를 선택하고 실거래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주소지로 주소구분, 시도, 시구군, 읍면동, 단지명을 각각 입력하여 '검색' 을 합니다.

     

     

    5. 년도별 아파트 거래금액

    검색결과에서 상세정보를 아래와같이 찾아보게 되면 2020년도, 전용면적, 계약일, 거래금액, 층수, 건축년도등 년도별로 상세한 매매가와 전월세가를 조회해 볼수가 있답니다.

     

     

    6.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제공

    두번째, 메인에서 '실거래가 자료제공' 메뉴를 선택하여, 비슷한 방식으로 계약일자, 파일구분, 실거래가구분, 주소, 읍면동에서의 아파트 이름을 각각입력합니다.

     

     

    7. 조건별 검색 자료제공

    조건별 검색을 각각 선택하고 파일구분을 EXCEL(엑셀) 로 선택을 하였다면 '다운로드' 단추를 눌러서 엑셀파일을 열어보게되면 아래와같이 거래금액을 확인해 볼수가 있답니다.

     

    이상으로 국토부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하는 두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답니다. 물론 전국의 지역별로 아파트마다 매년 시가가 달라질수가 있습니다.

     

    보통 도심의 경우 년도가 넘어가게 되면 조금씩 가격이 올라가는것이 일반적이며 외각쪽은 오래된 아파트일수록 가격이 점점 내려가게 되므로 너무 변동이 심하다면 좀더 신중해야할 필요가 있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