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카페나 공공기관등에 가보면 흔히들 노트북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를 흔하게 볼수가 있답니다. 휴대하기 편리한 노트북이나 테블릿PC를 하나씩은 가지고다니는 경우가 많답니다.

 

간혹가다 야외에서 노트북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해야하는경우 핫스팟을 이용해야하는 경우가 있답니다. 모바일 핫스팟이라 함은 휴대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트북등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인터넷을 사용할수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1. 핫스팟 사용시 주의사항

핫스팟을 이용할떄에 주의해야할 점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데이터를 소모하게 되므로 데이터 용량이 많거나 무제한인 경우에 사용해야하며, 핫스팟 연결시에 다른사람이 사용할수 없게 비번을 걸어두는것이 좋답니다.

 

참고로 경험상 여행을 며칠 다녀오면서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아 스마트폰 데이터로 핫스팟을 노트북에 연결하여 게임을 하였다가 요금폭탄을 맞은 경험이 있어 다음부터는 인터넷 검색정도만을 사용하고 있답니다.

 

 

2. 모바일 데더링 및 핫스팟

휴대기기마다 핫스팟 연결방식은 조금씩 다르지만 거의 비슷하므로 누구나 어렵지 않게 연결을 할수가 있답니다. 먼저 스마트폰의 앱스등에서 '설정' 톱니바퀴모양 아이콘을 선택하여 '연결' 메뉴를 선택하면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아이콘을 찾아 선택합니다.

 

 

3. 모바일 핫스팟 활성화

테더링 및 모바일 핫스팟 메뉴를 보게되면 '모바일 핫스팟' 사용안함으로 되어져 있으며 사용함으로 활성화를 시켜주면 모바일에서의 설정은 거의 끝난것입니다.

 

 

4. 핫스팟 구성 비밀번호설정

처음 핫스팟을 사용한다면 다른사람이 내 데이터를 연결하여 사용할수 없게끔 아래와같은 형식으로 비번을 걸어 놓아야 다른사람이 사용자의 데이터를 사용할수가 있으니 반듯이 설정을 해놓아야 한답니다.

 

 

5. 노트북 핫스팟 연결

휴대기기 핫스팟 설정을 마쳤다면 노트북을 켜고 하단 작업표시줄 오른쪽 부분에 인터넷 연결 아이콘을 눌러보면 연결대상을 'AndroidHotspot(안드로이드 핫스팟)' 을 선택하여 방금 사용자가 걸어놓은 비번을 입력하여 '연결됨' 으로 활성화가 되었다면 핫스팟이 연결이 된것입니다.

 

 

요즘에 나와있는 휴대기기들의 경우 보통 USB, 블루투스, 핫스팟 3가지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 사용을 노트북에서 핫스팟으로 사용하게 된답니다. 하지만 핫스팟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배터리 소모가 빠르니 너무 오랜기간 사용하게되면 좋지 않으며 되도록이면 간단한 인터넷서핑정도로만 이용하는것이 좋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