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매년마다 조금씩 변경이 되는 부동산 관련법으로 인하여 양도세를 개인이 계산하는것이 쉽지 많은 않답니다. 때문에 요즘에는 자동계산기를 관련된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기도 합니다.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법령으로 인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국세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관련 계산기를 이용한다면 토지나 부동산을 양도할떄에 보다 정확하게 예측을 해볼수가 있답니다.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토지, 주택, 아파트등..) 또는 분양권, 주식등을 양도하는 경우 발생하게 되는 소득에 대한 과세된 세금을 양소소득세라고 할수가 있답니다.
1.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현재까지 2013년 이후 1가구 1주택자 2년이상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라면 비과세가 적용이 되기 때문에 굳이 계산이 필요하지 않겠지만 보유기간이 2년 이하인 경우이거나 2주택 이상이라면 자동계산을 통해서 양도세가 얼마나 나오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답니다.
2. 비과세와 감면되는경우
2021년 5월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것과 같이 국내에 1주택을 보유하고 2년이상 보유한 경우라면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답니다. 하지만 9억원이 초과하는 주택은 제외됩니다.
3. 1가구 2주택이상 세율
양소소득세율표는 2020년 기준으로 아래와같으며 보유기간이나 2주택이상의 경우라면 각각 세율을 살펴봐야합니다.
■ 2주택 이상의 경우 조정대상지역과 일반지역으로 나뉘어지며 세율 40% 부터 적용이 된답니다.
4.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
개인이 일일이 계산하기가 어렵다면 양도소득세 자동계산기를 지원하고 있는 '홈택스' 를 통해서 계산이 가능하므로 아래와같이 다음등의 포탈에서 홈택스 공식홈페이지를 접속합니다.
5. 양도소득세 종합안내
아래와같이 국세청홈택스 공식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였다면 상단메뉴에서 '조회/발급 > 세금신고납부 > 양도소득세 종합안내' 카테고리를 선택하고자 합니다.
6. 양도소득세 미리계산하기
양도소득세 종합안내 포털에서 아래와같이 '미리계산(모의계산)' 을 선택하여 '계산하기' 단추를 선택합니다. 로그인하기 번거롭다면 비로그인으로 바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7. 간편계산 입력하기
간편계산 입력란 대화상자가 아래와같이 나타나며 기본사양에 양도, 취득일자 거래금액등을 각각 입력해야 합니다. 취득가액은 '조회' 단추를 눌러서 활성화시켜서 입력합니다.
■ 예제로 아래와같이 양도가액, 취득가액, 추득세등을 각각 입력하였으며 1세대 1주택인 경우라면 특별한 변경사항이 없지만 2주택자 이상이라면 각각 선택을 해주어야 합니다.
8. 간편계산 결과확인하기
예제에서 세액계산하기 단추를 누르게 되면 아래와같이 양도소득세 간편 계산 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1주택자이며 2년이상 보유하고 9억원 미만의 주택인경우라서 양도세가 부과되지 않았습니다.
이상으로 양도소득세 자동계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작년 2019년도부터 고가주택(9억이상)을 보유하고 있거나 2주택자 이상인 경우라면 양도시에 세율이 적용되므로 국세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동계산기를 이용하여 어느정도 세율이 적용이 되는지 대략 예측해 볼수가 있답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