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근로자로 직장을 다니게 되면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이 가입을 하게되며 여러가지 사정으로 직장을 나오게되면 지역가입자로도 건강보험을 납부하게 된답니다.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의 경우 재직증명서를 대신하기도 하며 지역가입자의 경우라면 추가적인 경력사항이나 금융권등을 이용할때에 필요한경우가 있답니다. 이전에 다녔던 직장의 이력 확인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나이를 먹다보면 건강하다고 해도 병원이 갈일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의료보험증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좋으며 병원을 자주 찾지 않더라도 건강검진정도는 받아야 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를 인터넷으로 발급받기 위해서는 먼저 아래와같이 포탈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홈페이지를 찾아서 접속합니다.

 

 

2. 민원신청 메뉴선택

국민건강보험 공식홈페이지 상단의 카테고리에서 '민원신청' 메뉴를 선택하고, 개인민원에서 '자격' 메뉴를 선택하여 관련 상세메뉴를 선택할수가 있답니다.

 

 

3.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아래와같이 개인 민원 상세메뉴를 보게되면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메뉴를 선택하면 '공인인증 로그인' 이 필요하다는 팝업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4. 공인인증서 로그인 페이지

일반적으로 민원관련 서류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본인을 증명할수 있는 공인인증이 되어야만 합니다.

 

 

5. PC용 보안 프로그램 설치

공인인증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PC용 보안 프로그램인 PC 방화벽, 키보드보안 프로그램을 각각 설치하는것이 보안을 위해서 좋지만 설치 없이도 진행은 가능하답니다.

 

 

■ 인터넷뱅킹이나 민원 관련서류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아래와같이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하며 만약 없다면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은행에 방문하여 신청을 할수가 있답니다.

 

 

6. 자격득실확인서 발급내역 확인

로그인을 하게되면 사용자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내역 자료가 아래와같이 지금까지 근무했던 사업장명칭과 취득일 상실일을 상세하게 확인이 가능하며 '프린트발급' 이 가능하답니다.

 

 

위처럼 발급받은 자격득실확인서발급내역은 경력증명서 대신으로 사용할수도 있으며 금융권에 필요한 제출자료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를 인터넷으로발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