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서 도심뿐만 아니라 지방의 경우에도 아파트나 빌라 주택의 매매가격이 높아지면서 일반 서민층의 경우 사실상 내집을 마련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워 졌다고 할수가 있답니다. 특히 젊은청년들이나 신혼부부, 고령자의 주거환경이 더욱 힘들어지고있는것이 사실이기도 하답니다.

 

목차

     

    때문에 청년층, 신혼부부, 고령층을 위해 주거환경을 마련하고자 이미 몇년전부터 행복주택이라는 제도를 마련하였으며 지금과 같이 어려운시기에 이러한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서 힘든시기를 잘 극복해 나갈 필요가 있을듯 합니다.

     

    행복주택의 경우 국민들의 세금으로 아파트나 주택등을 건설하거나 매입을 하여서 서민층에게 저렴하게 임대해 주는 제도라고 할수가 있답니다.

     

    간략한 조건을 살펴 보면 현재 무주택자로 기준소득 % 이하의 서민층에게 기존의 시세보다 낮은 보증금과 월세로 임대를 하는것으로 실제 임대주택과도 매우 흡사하답니다.

     

    행복주택 입주조건

     

    1. 행복주택이란.?

    이미 몇년전부터 아파트 매매가가 청정부지로 높아지면서 지금은 일반 직장인이나 근로자가 자금을 마련하여 집을 마련하는것이 어려워졌으며, 청년, 예비부부의 경우 이러한 주거문제로 인해서 결혼을 망설이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주택도시기금에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답니다.

     

    행복주택이란

     

    2. 입주대상과 소득기준은.?

    입주 대상의 경우 무주택이여야 하며 소득, 자산기준을 기준소득에 충족하는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등으로 소득기준은 전년도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 100% 이하이며 대학생, 청년의 경우 80% 이하로, 자산기준은 부동산 28,800만원, 자동차 2,468만원 이하여야 한답니다.

     

    입주대상과 소득기준

     

    3. 임대료와 거주기간은.?

    임대료의 경우에는 지역의 주변 시세대비해서 60% ~ 80% 사이이며, 거주기간은 대학생, 청년의 경우 최대 6년, 신본부부의 경우 최대 10년, 주거급여수급자, 고령자의 경우 최대 20녀까지 거주가 가능하답니다.

     

    임대료와 거주기간

     

    4. 행복주택 자가진단방법은.?

    먼저 아래와같이 '마이홈포털' 공식홈페이지를 접속하여, 마이홈 메인페이지에서 카테고리 '자가진단 > 공공주택(통합) > 행복주택' 메뉴를 선택하여 조건 선택 페이지로 넘어갈수가 있답니다.

     

    자가진단방법

     

    5. 자가진단 조건 선택진행하기

    예제로 진행을 해보면 첫째, 자신에게 맞는 계층으로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 고령자에 해당한다면 그중에 선택을하고, 둘째, 해당 자격을 선택합니다.

     

    자가진단 조건

     

    ■ 세대 구성원 모두가 무주택자라면 예를 선택하고, 혼인기간등을 각각 선택합니다. 참고로 현재 무주택자가 아니라면 해당자격에서 제외가 된답니다.

     

    세대구성원 무주택자

     

    ■ 세째, 해동세대의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을 선택에서 2인 ~ 8인 그리고 월평균 소득 해당세대, 맞벌이 중에 선택을 하시면 된답니다. 예를 들어 2인가구에 해당 세대 외벌이 월소득이 230만원이라면 아래와같이 선택을 하시면 된답니다.

     

    가구원수 월평균소득

     

    ■ 마지막으로 네째는 총자산이 28,800만원 이하 입니까에 예, 보유하신 자동차 금액이 24,680만원 이하입니까 예를 선택하시면 입주조건에 해당이 된답니다. 그리고 '모집공고 바로가기' 단추를 선택합니다.

     

    총자산

     

    6.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

    현재날짜 기준 2021년 4월에 해당하는 행복주택에서 서울, 경기, 광주, 부산, 대구, 대전, 인천등.. 해당하는 지역에서 입주자 모집공고를 통해서 상세하게 확인해 볼수가 있답니다.

     

    입주자 모집공고

     

    공급일정의 경우에는 지역마다 매달 조금씩 달라지며 모집공고일자를 확인해야 하므로 신청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을 자주 확인해서 공고일에 맞추어 신청을 하실수가 있답니다.

     

    지금은 청년층뿐만 아니라 신혼부부, 고령층의 경우에 보금자리를 마련하는것이 그리 쉽지많은 않으므로 행복주택과 같은 주거복지정책을 적극 활용하여 조금이라도 어려운 환경을 극복해 나갈수가 있을듯 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